Great Train Express의 줄임말인 GTX는 수도권광역급행철도를 의미합니다. 수도권에 있는 지하철보다 더 깊은 곳에 노선을 만들 계획이며, 아직 완공된 노선은 없습니다. 수도권 전역의 이동시간을 크게 단축시키는 정책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GTX 노선
노선은 크게 A, B, C, D의 4가지 노선으로 구분됩니다. 각 노선의 주요 정차역을 살펴보겠습니다.
GTX-A노선 : 파주운정지구→킨텍스→대곡→연신내→서울역→삼성→수서→성남→용인→동탄
GTX-B노선 : 송도→인천시청→부평→당아래→신도림→여의도→용산→서울역→청량리→망우→별내→평내호평→마석
GTX-C노선 : 덕정→의정부→창동→광운대→청량리→왕십리→삼성→양재→과천청사→인덕원→금정(→상록수 분기)→의왕→수원
GTX-D노선 : 장기→검단→계양→대장신도시→부천종합운동장
2. GTX 부동산 이슈
설계 단계에서 포함되지 않은 정차역에 대해, 그 지역 정치권이나 지방자치단체에서 GTX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C노선의 경우에는 설계단계에서 포함되어 있지 않았던 왕십리, 인덕원, 의왕, 상록수역이 추가되면서 지역 부동산 가격 호가가 1~2억씩 상승했습니다. 본디 목적과는 다르게 부동산 가격 상승의 커다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 가장 빠른 완공 노선
A노선이 가장 완공이 빠를것이라 예상됩니다. 2019년에 착공을 시작했으며 2024년 상반기까지 완공을 목표로 진행중입니다. 그러나 2028년까지 삼성역에는 복합환승센터 건설 계획으로 인해 무정차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T(Bus Rapid Transit)란? 뜻과 문제점, 예시 살펴보기 (0) | 2022.06.07 |
---|---|
부동산 경매와 공매 개념과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2.06.04 |
부동산 아파트 건설사 순위 알아보기(by.시공능력평가제도) (0) | 2022.02.23 |
부동산 분양가 상한제란? 적용지역과 개편안 알아보기 (0) | 2022.02.21 |
부동산 분양권 실파, 쪽파, 대파란? 초피 거래 용어 알아보기 (0) | 2022.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