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Bus Rapid Transit의 약어인 BRT란 한국말로 간선급행버스체계를 말합니다. 여기서 간선도로란, 도시의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의미하며 대중교통의 수요가 많은 도로입니다. BRT의 뜻과 문제점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BRT의 뜻
개요에서 언급한 간선도로로 운행하는 급행버스를 일명 BRT라고 부릅니다. 교통량이 많은 주요 도로는 상식적으로 교통체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도로 중앙선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함으로써 주요 도로에도 버스만큼은 교통체증에 무관하게 운행을 할 수 있게 됩니다.
2. BRT 문제점
버스입장에서는 당연히 교통체증과 상관없이 전용차로를 이용하니 좋지만 일반 승용차를 운전하는 입장에서는 이용하던 차선을 버스에 떼어준 셈입니다. 기존 도로 폭이 좁은 부산의 경우에는 BRT 도입으로 인해 일반 승용차들의 교통체증이 오히려 증가했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토부에서는 신규 S-BRT를 도입하여 고급화를 추진 중에 잇습니다. 인천, 성남, 창원 등을 시범사업구간으로 선정하여 추진 중에 있습니다.
3. 세종시 S-BRT 예시(Super-Bus Rapid Transit)
세종시에서는 S-BRT가 적용되어 있습니다. 사업구간 22.9km을 교차로 입체화 및 사전요금지불 및 정류장을 폐쇄형으로 설치하여 고급화를 추진하였습니다. 그러나 정류장 구간이 너무 많아서 출퇴근 시간대에는 저속 운행을 할 수밖에 없어 마을버스로 전락했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반응형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매 용어 신건, 유찰, 매각기일(입찰기일), 감정평가, 최저가격 알아보기 (0) | 2022.06.11 |
---|---|
트램(Tram)이란? 역사와 장단점 살펴보기 (0) | 2022.06.10 |
부동산 경매와 공매 개념과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2.06.04 |
GTX란? 수도권광역급행철도 알아보기 (0) | 2022.03.05 |
부동산 아파트 건설사 순위 알아보기(by.시공능력평가제도) (0) | 2022.0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