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동산 공부39 경매 용어 청구금액, 배당 종기란? 부동산 경매 용어 시리즈 2번째입니다. 기본적으로 경매 물건을 파악할 때 '사건 정보'를 접하게 되는데 이 중 '배당 종기'와 '청구금액'이라는 용어에 대해서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배당 종기란? 경매에서 배당 종기란 '배당요구 종기일'의 줄임말입니다. 배당요구와 종기일을 나눠서 생각하면 편합니다. 경매 물건의 채권자, 임차인이 권리를 주장하여 경매 물건 매각 후 매각대금을 요구하는 것이 배당요구의 뜻입니다. 종기일이라는 것은 마지막 날이라는 뜻입니다. 따라서 배당요구 종기일이라는 것은 채권자 및 임차인이 권리신고 및 배당요구를 할 수 있는 마감일입니다. 물건에 대한 권리가 있는 사람은 무조건 이 기간 내에 신고를 마쳐야 합니다. 2. 청구금액이란? 경매를 신청한 채권자가 받아가는 금액을 의.. 2022. 6. 13. 경매 용어 신건, 유찰, 매각기일(입찰기일), 감정평가, 최저가격 알아보기 부동산 경매에 대해 공부하고 친숙해지기 위하여 관련 용어를 정리하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신건, 매각기일, 최저입찰가의 뜻을 관련 예시를 들어 간단히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신건, 유찰 경매 물건이 처음으로 입찰에 부쳐지는 건을 신건이라고 합니다. 신건에 입찰을 시행했으나 아무도 입찰하지 않을 경우 혹은 입찰에 성공했더라도 자격이 갖추어지지 않아 낙찰이 되지 않으면 유찰되었다고 합니다. 유찰될 경우 감정평가액의 20~30% 낮아진 상태로 다시 입찰을 진행하게 됩니다. 2. 매각기일(=입찰기일) 매각기일, 즉 입찰기일은 법정에서 입찰이 실시되는 날을 말합니다. 매각기일의 14일 이전부터 공고를 올리며, 신문에서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감정평가 법원에서는 경매 물건의 가격을 결정하기 위해.. 2022. 6. 11. 트램(Tram)이란? 역사와 장단점 살펴보기 트램(Tram)은 BRT(Bus Rapid Transit)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새로운 교통수단입니다. 지상의 경전철이라고 불리는 트램은 인천, 대전, 대구 등 많은 지자체들이 추진을 시도하였습니다. 간단히 원리와 장단점을 살펴보겠습니다. 1. 트램이란? 트램은 지상에 레일을 설치하여 운행되는 전차를 의미합니다. 노면전차, 시가전차라고 불리며 해외에서는 일본, 독일, 미국, 러시아, 프랑스 등 각지에서 도입되어 운행 중입니다. 전기를 동력으로 삼아 운전하게 되며 운행 속도는 최대 70km/h까지입니다. 2. 트램의 역사 첫 도입은 미국에서 1887년에 이루어졌습니다. 이후 세계로 퍼져나가며 곳곳에 도입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1899년에 도입되어 1960년대까지 대중교통으로 운행하였습니다. 그러나 개인차량의.. 2022. 6. 10. BRT(Bus Rapid Transit)란? 뜻과 문제점, 예시 살펴보기 Bus Rapid Transit의 약어인 BRT란 한국말로 간선급행버스체계를 말합니다. 여기서 간선도로란, 도시의 주요 지점을 연결하는 교통량이 많은 도로를 의미하며 대중교통의 수요가 많은 도로입니다. BRT의 뜻과 문제점을 간단히 살펴보겠습니다. 1. BRT의 뜻 개요에서 언급한 간선도로로 운행하는 급행버스를 일명 BRT라고 부릅니다. 교통량이 많은 주요 도로는 상식적으로 교통체증이 발생하게 됩니다. 그러나 도로 중앙선에 '버스전용차로'를 설치함으로써 주요 도로에도 버스만큼은 교통체증에 무관하게 운행을 할 수 있게 됩니다. 2. BRT 문제점 버스입장에서는 당연히 교통체증과 상관없이 전용차로를 이용하니 좋지만 일반 승용차를 운전하는 입장에서는 이용하던 차선을 버스에 떼어준 셈입니다. 기존 도로 폭이 좁.. 2022. 6. 7.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