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파트를 알아보려고 인터넷에 검색하다보면 낯선 단어들이 등장합니다.
또한 부동산에 들러서 공인중개사분들과 대화를 나누려면 기본적으로 알아야하는 개념들이 있습니다.
몇가지 자주 쓰이는 단어를 설명드리겠습니다.
1. 부동산 임장
- 아파트, 오피스텔, 토지 등등 부동산을 실제로 현장 답사하는 행위
Ex) 이번에 과천으로 임장 다녀왔어 (=과천 들러서 집 & 주변 동네 보고왔어)
- 매수 전 꼭 사전답사를 통해 인터넷으로는 느낄 수 없는 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실제 동네 분위기, 교통량 등등
- 보통 부동산을 방문해서 단지 정보를 얻고 주변 걸어다니기 or 차로 한바퀴 돌아보기 등
2. 프리미엄
신규로 분양하는 아파트 값 = 분양가 로 말하곤 하는데, 청약에 당첨된 사람들은 분양가를 지불하고 아파트를 받게됩니다.
이때 입지가 좋거나 분양가가 주변 아파트 시세에 비해서 낮게 형성되면,
실제 아파트 시세는 (분양가 + 프리미엄) 으로 형성됩니다.
분양가에서 플러스 알파, 즉 웃돈의 개념으로 프리미엄이 추가됩니다.
* 줄여서 p(피) 라고 부른다.
** 이때 피가 마이너스면 마피라고 부르며, 마피만큼 매도자가 매수자한테 돈을 주면서 권리 양도!
3. 전매제한
청약에 당첨되어서 분양받을 수 있는 권리를 확보하게 되면 이 권리를 p를 받고 팔 수 있었습니다. 이를 전매라고 불렀었는데요
그러나 각종 부동산 규제정책이 생기면서 분양권을 바로 팔 수 없고 일정기간동안 무조건 가지고 있어야하는데
이를 전매제한이라고 하며, 지역마다 기간이 상이합니다.
반응형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피스텔 평형, 계약 평수, 아파트와 전용면적 차이점? (0) | 2021.12.07 |
---|---|
부동산 복비, 복덕방 뜻과 중개수수료 요율 알아보기 (0) | 2021.11.14 |
오피스텔 일반임대사업자란 무엇일까? 부가세 환급? (0) | 2021.11.03 |
부동산 계단식, 복도식 아파트 차이점 알아보기 (0) | 2021.11.02 |
부동산 아파트 타입, 판상형과 타워형 차이 알아보기 (0) | 2021.11.02 |
댓글